6차시 안전문화의 위상
1. 안전문화의 발전단계 중 항상 개선될 수 있는 안전 상태는 1단계이다. 정답 : X
정답해설
안전문화의 발전단계 중 항상 개선될 수 있는 안전 상태는 3단계이다.
2. 학습된 무력감 + 불안 회피 = 안전보건경영시스템. 정답 : X
정답해설
학습된 무력감과 불안 회피는 조직의 비난 사이클(Biame Cycle)을 촉발하는 기저 요인이다.
3. 속인적 조직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? 정답 : 4
1) 상부로 좋은 정보만 전달되는 문제점
2) 과제가 조직 내에서 논의되지 않고 개혁이 지체됨
3) 결정권자가 과거의 성공체험에 얽매어 구시대적 폐해 발생
4) "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."는 위기감이 불안을 상회해야 변화가 받아들여짐
정답해설
"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"는 위기감이 불안을 상회해야 변화가 받아들여짐은 '문화'의 기본 속성을 설명한 것이다.
4. 누구도 보고 있지 않은 때에 사람들이 안전과 리스크에 관하여 어떻게 행동하는가이다.' 이와 같이 안전문화를 정의한 조직은? 정답 : 1
1) 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
2) 미국 화학공학과 화학공정안전센터(AlchE CCPS)
3) 국제원자력안전자문그룹(INSAG)
4) 영국 원자력시설안전자문위원회(ACSNI)
정답해설
문제는 구제민간항공기구가 발표한 '안전문화'의 정의이다.
5.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세부 문화가 아닌 것은? 정답 : 3
1) 보고하는 문화
2) 유연한 문화
3) 비난하는 문화
4) 학습하는 문화
정답해설
비난하는 문화(Blame Culture)는 안전문화의 반대 개념이다.
6. 안전문화가 개념화된 사건은? 정답 : 4
1) 챌린저호 폭발사고
2)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
3) 후쿠시마 원전사고
4) 체르노빌 원전사고
정답해설
안전문화(Safety Culture)는 '체르노빌 원전사고'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개념이다.
7. 대부분의 조직은 조직 그 자체를 바꾸려고 하기 보다 조직특성을 바꾸려고 한다. 정답 : O
정답해설
조직특성을 바꾸는 것이 실적을 내는 데 유리하다. 조직을 바꾸기 위해서는 지난한 시간과 조직 구성원 전체의 역량이 동원된다.
8. 안전문화는 ' 경계하는 ' 문화이다. 정답 : O
정답해설
안전문화는 집단적인 주의깊음을 토대로 조성된다.
9. 안전문화는 인간(조직) 고유의 안전과 관련된 실적 요인이다. 정답 : O
정답해설
안전은 그 대상이 인간이고 문화는 구성원들중에 의해 형상 됨
10. IAEA 가 말하는 ' 안전문화 열화단계' 는? 정답 : 4
1) 1단계
2) 2단계
3) 3단계
4) 4단계
정답해설
1단계 : 규칙 및 규제 기반 안전
2단계 : 조직의 목표로서의 안전
3단계 : 항상 개선될 수 있는 안전
4단계 : 안전문화 열화단계
11.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신뢰성 확보 방안을 고르시오. 정답 : 1
1) 성과 또는 프로세스 기반 규제 방식
2) 준수 기반 규제방식
3) 프로젝트 기반 규제 방식
4) 행동 기반 규제 방식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이 다시 시작 되었다. 이미 1분기가 완료 된 이후에 교육을 받게 되서 이미 교육을 완료한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 이제 매일매일 한 단씩 진행을 해보려고 한다.먼
britz7080.tistory.com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수면 관리의 비밀)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수면 관리의 비밀)
수면 관리의 비밀1. 깊은 논렘수면에 이르는 수면 단계를 '서파(Slow sleep, 델타파) 수면'이라고 한다. 정답 : O정답해설수면은 그 깊이에 따라 4단계로 나누어지며, 깊은 논렘수면에 이르는 수면 단
britz7080.tistory.com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근골격계 질환의 이해)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근골격계 질환의 이해)
근골격계 질환의 이해1. 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치료하더라도 완치가 어렵고 신체의 기능적 장애가 남는다. 정답 : O정답해설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치료할 경우 완치가 가능하다2. 사업주는
britz7080.tistory.com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소음과 난청)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소음과 난청)
3차시 소음과 난청 1.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0데시벨에 노출되고 있다면 소음작업이다. 정답 : X정답해설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소음작업이라
britz7080.tistory.com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뇌심혈관질환과 예방대책)
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 교육[제조업] 사무직 외(뇌심혈관질환과 예방대책)
5차시 뇌심혈관질환과 예방대책1. 혈압을 측정했는데 140/90mmHg으로 나왔다면 주의혈압 단계이다. 정답 : X정답해설혈압이 140/90mmHg으로 나왔다면 고혈압 1기에 해당된다2. 당뇨질환 관리자는 고혈
britz7080.tistory.com